공기청정기 필터 구매를 알아보던 중, 공기청정기 필터 8개 제품에서 사용금지 물질이 검출되었다는 기사를 접하게 되었다. 여태껏 경제적 이유로 호환필터를 구매해 왔으나 별다른 고민 없이 구매했던 것이 사실이다. 호환필터 유해 물질 논란을 계기로 안전한 공기청정기 호환필터 구매에 대해 고민해 보고 그 방법을 공유해본다.
공기청정기 호환필터 유해물질 논란에 대해
2025년1월22일 보도된 환경부 보도자료에 따르면 공기청정기 호환필터 42개 제품 조사에서 8개 제품에서 사용이 금지된 살생물 물질이 검출되었다고 한다. 몽골루,상상그램,씨엑스타일코리아,베텔,모노테크,에이치투에스 인터네셔널,티에스인더스트리스,이노텐드,뉴욕투마켓등이 제조·수입·판매한 제품으로 LG전자·위닉스·샤오미 공기청정기 호환 제품이다. 해당 제품들은 제조·수입·판매를 금지하고 회수 명령이 내려졌다.
호환필터에서 검출된 살생물 물질인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엠아이티)는 인체 노출 시 호흡기, 피부, 눈 등에 자극을 일으킬 수 있어 사용해서는 안 된다. 해당 성분은 가습기 살균제에도 사용되어 논란이 되었던 성분이기도 하다.
그나마 다행인 것은 공기청정기 필터의 특성상 가습기에 비해 피해는 그리 크지 않다고 하지만 자택이나 직장 등에서 호환필터가 장착된 공기청정기를 사용 중이라면 제품명과 업체명을 반드시 확인해야 하고, 위반업체의 제품이라만 사용을 중지하고 폐기하도록 해야 할 것이다.
초록누리에서 위반정보 검색
화학제품안전포털 초록누리>화학제품 정보>위반제품>생활화학제품 위반정보에서 검색어를 통해 공기청정기필터 뿐 아니라 생활화학제품들의 위반정보를 쉽게 조회할 수 있다. 혹 의심가는 제품이 있다면 바로 검색해 보자.

공기청정기 필터 모델명 확인
구매하려는 필터의 모델명을 모르고 있는 경우에는 먼저 필터의 모델명 확인이 필요하다. 공기청정기 설명서를 확인하거나, 본체에서 모델명을 확인하고 공기청정기 모델명 + 필터 키워드로 인터넷 검색, 제조사 홈페이지에서 모델명으로 검색, ChatGPT로 모델명 확인하는 것도 편리하다. 필터 모델명은 공기청정기 안쪽에 스티커와 네임펜 등으로 적어둔다면 잊어버릴 일이 없을 것 같다.



안전한 필터 구매 방법
초록누리에서 검색
초록누리에서 화학제품 정보>생활화학제품>신고대상 생활화학제품에서 상세조건검색을 선택하고 품목·용도탭을 선택하고 보존·보존처리제품>필터형 보존처리 제품>공기청정기용을 선택한다.(상세조건검색창은 클릭할때마다 열리고 닫힘)
제품명과 업체명등이 표시되는데, 제품명과 업체명으로 인터넷 쇼핑에서 검색을 해본다. 제품명은 일반형,프리미엄 등 비슷한 제품명이 많으므로 검색이 어렵고 업체명과 공기청정기 필터 모델명을 조합해서 검색한다. 예를들어 업체명이 주식회사 청청바람, 모델명이 CFX-G100D이라면 청청바람 CFX-G100D로 검색한다.
공기청정기 필터들이 검색되면 상세정보를 확인한다. 업체명과 제품명이 다른경우가 있으므로 (ex:업체명은 청청바람, 제품브랜드명은 산들바람 등..) 상세정보를 직접 비교 확인해봐야 한다.

제품 상세 정보에서 초록누리에서의 제품명과 업체명이 동일한지, 원산지가 국산인지 확인한다. 제조사나 원산지 등 중요정보가 누락되어 있다면 주의하도록 한다. 상세 정보에서 특이 사항이 없고 제조 정품 필터와의 가격을 비교해 보아 합리적이면 구매를 진행하면 된다.

대부분의 업체의 제품 홍보에 시험성적서를 확인할 수 있는데, 의뢰자, 품명, 접수 번호, 접수 일자, 발급 일자 등을 확인하여 문제가 없는지 확인한다. 시험성적서 이미지가 너무 작아 글자를 확인하기 어렵거나 접수 번호, 접수 일자 등 중요정보가 모자이크되어 있을 경우 주의를 기울이도록 하자. 아래는 국제공인 시험기관인 FITI시험연구원 시험성적서이다. FITI 시험성적서는 성적서 진위 확인에서 접수 번호와 문서 확인 번호로 문서 진위를 확인할 수 있다.

직접 검색 해 보니 상세 정보가 맞지 않는 경우가 많아 찾는 데 조금 시간이 걸렸다. 제품명은 유사하나 업체명이 다르거나, 제조사가 다르거나 표시되지 않은 경우도 있었다. 믿을 만한 업체 2~3곳을 즐겨찾기 해두고 이후 구매하면 조금 수고를 덜 듯하다.
보도자료 제품 조사 결과를 참고하여 구매
환경부 보도자료(1.22(수) 보도된 환경부(공기청정기 필터) 보도자료 관련 조사 대상 목록)를 열람하면 조사 대상 공기청정기 필터 42개 제품 조사 결과. pdf 파일이 첨부되어 있다. 첨부 파일을 열면 조사 결과가 확인된다. 여기서 자신의 공기청정기 브랜드와 문서의 호환용 제품 브랜드명을 확인한 후, 제품명과 수입/제조/판매사와 필터 모델명을 조합해서 인터넷 쇼핑에서 검색하고, 상세 정보에서 제품명, 업체명을 확인한다. 특히 제품명에 일반형 프리미엄 등 등급 명이 있는 경우 그 등급이 맞는 제품만 불검출 제품이다.

직접 검색 해 보니 이 방법도 찾는 데 시간이 제법 걸렸다. 여러번 검색한 끝에 맞는 호환필터 제품을 찾을 수 있었다.
마치며
세상에 공짜는 없다는 것을 새삼 느끼게 된다. 신고된 업체와 모델명으로 인터넷 쇼핑에서 원하는 상품을 검색하여 비교 구매하기가 쉽지는 않았다. 그러나 이렇게 꼼꼼하게 확인하여 공기청정기 호환필터 구매를 하니 이제 마음 놓고 공기청정기 호환필터를 사용할 수 있다는 생각이 든다. 가능하면 정품 필터를 사용하도록 하고 호환필터를 사용해야 한다면 반드시 안전한 호환필터인지 확인하고 구매하도록 하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