솔리티 스마트 도어락 가이드 4|월패드 도어락 연동

앞서 솔리티 스마트 도어락 가이드 3|스마트싱스 연동에서 삼성 스마트싱스(SmartThings)와 연동하는 방법을 소개해 보았다. 이번에는 솔리티 스마트 도어락을 연동기 및 스마트싱스를 통해 월패드와 연동하는 방법을 소개해 본다. 솔리티 도어락 뿐만 아니라 다른 도어락 연동에도 적용되는 내용이니 참고하기 바란다.

⚠️ 유의사항

• 관련 작업에 지식이 없을 경우 직접 작업하지 말고 전문가에게 의뢰 필수
• 월패드 연결 작업시 전원 차단 필수
• 월패드 연결 작업시 월패드가 고장이나 전기사고가 발생할 수 있음

연동기와 월패드 도어락 연동

대부분의 도어락에는 월패드 연동기를 판매하고 있다. 연동기는 수신기와 송신기로 구성되는데, 수신기는 보통 모듈 형식으로 도어락 내부에 장착되고 송신기는 월패드와 연결된다. 월패드에서 현관문 도어락을 열면 송신기가 신호를 보내고, 신호를 받은 수신기가 도어락을 열게 된다. 연동기를 사용하게 되면 연동기 모듈이 도어락에 장착되므로 스마트솔리티(전용 앱연동, IoT, 스마트싱스 연동) 모듈을 장착할 수 없게 되어 스마트솔리티를 사용할 수 없게 된다.

월패드에서 도어락 연동을 위해 12V 전원 2가닥과 도어락 열림 신호 2가닥을 송신기에 연결한다. 이후 수신기 모듈을 도어락 내부에 장착하고, 수신기 모듈과 연동기를 페어링(해당 연동기 설명서 참조)하면 설치가 완료된다. 여기까지 작업하면 월패드에서 도어락을 열 수 있다.

추가로 연동기와 월패드 도어락이 연동된 상태에서 ZigBee 스마트 스위치를 연결하면, 스마트싱스 IoT 플랫폼에서도 원격으로 현관문 도어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연동기의 송신기 신호선 2가닥과 ZigBee 스마트 스위치 접점선 2가닥을 연결하고, 송신기의 12V 전원선 2가닥을 ZigBee 스위치 전원에 연결한다.

이후 해당 ZigBee 스마트 스위치를 스마트싱스에 추가해 동작시키면 도어락이 열리게 된다. 단, 이 방식은 Zigbee 스마트 스위치로 연동기를 작동시켜 원격으로 문을 열어주는 기능에 한정되며, 현재 도어락의 잠김·해제 상태를 확인할 수는 없다.

연동기와 월패드 도어락이 연동된 상태에서 ZigBee 스마트 스위치를 연결하면, 스마트싱스 IoT 플랫폼에서도 원격으로 현관문 도어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 연동기와 월패드 도어락이 연동된 상태에서 ZigBee 스마트 스위치를 연결하면, 스마트싱스 IoT 플랫폼에서도 원격으로 현관문 도어락을 잠금 해제할 수 있다

스마트 솔리티와 스마트싱스로 월패드 도어락 연동

도어센서와 DC-DC 컨버터로 도어락 연동 모듈 만들기

솔리티 스마트 도어락 가이드 3|스마트싱스 연동을 참고하여 스마트 솔리티와 스마트싱스를 연동하고 나면 스마트싱스에서 도어락을 열 수 있다. 여기서 월패드의 현관문 화면에서 ‘현관문 열기’ 버튼을 눌렀을 때 스마트싱스가 도어락을 열도록 하면 된다.

월패드는 도어락 연동을 위해 12V 전원 2가닥과 도어락 열림 신호 2가닥을 지원한다. 도어센서를 분해해 월패드 도어락 열림 신호 2가닥을 도어센서 양단에 납땜하여 연결한다.

도어센서는 기본적으로 CR2032 3V 배터리를 사용한다. 배터리가 오래가긴 하지만 교체할 때마다 월패드를 분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따라서 월패드에서 제공하는 전원을 연결하는 것이 편리하다. 다만 월패드는 12V이고 도어센서는 3V이므로, 강압형(Buck) DC-DC 컨버터를 중간에 연결해 월패드의 12V를 3V로 낮춰 도어센서 전원에 연결하였다.

월패드 도어락 열림 신호 2가닥을 도어센서 양단에 연결하고, 월패드의 12V를 DC-DC 컨버터로 3V로 강압해 도어센서 전원에 연결한 모습
▲ 월패드 도어락 열림 신호 2가닥을 도어센서 양단에 연결하고, 월패드의 12V를 DC-DC 컨버터로 3V로 강압해 도어센서 전원에 연결한 모습

도어센서와 DC-DC 컨버터를 그대로 월패드가 장착된 벽 내부에 넣을 경우 쇼트로 월패드가 손상될 수 있으므로 반드시 절연 케이스에 넣어야 한다. 별도의 전자 키트 박스나 다이소의 작은 플라스틱 케이스를 사용해도 되고, 껌 케이스 등을 활용해도 무방하다.

도어센서와 DC-DC 컨버터, 껌 케이스 모습
▲ 도어센서와 DC-DC 컨버터, 껌 케이스 모습

도어센서와 DC-DC 컨버터를 껌 케이스에 수납하고 절연테이프로 마감한 모습
▲ 도어센서와 DC-DC 컨버터를 껌 케이스에 수납하고 절연테이프로 마감한 모습

도어락 연동 모듈을 월패드에 연결하기

이제 껌 케이스에 수납한 도어센서와 DC-DC 컨버터를 월패드에 연결한다. 스마트싱스에 도어센서를 추가한 뒤, 월패드에서 ‘현관문 열림’ 버튼을 누르면 도어센서가 닫힘 → 열림으로 잠시 바뀌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껌 케이스에 수납한 도어센서와 DC-DC 컨버터를 월패드에 연결한 모습
▲ 껌 케이스에 수납한 도어센서와 DC-DC 컨버터를 월패드에 연결한 모습

스마트싱스에서 월패드 도어락 잠금 해제 자동화 설정 하기

월패드에서 ‘현관문 열림’ 버튼을 눌렀을 때 스마트싱스가 도어락을 잠금 해제하도록 자동화를 구성한다.

  • 도어락이 잠김 상태일 때
  • 월패드 도어락 열림 도어센서가 닫힘 상태일 때
    → 도어락 잠금 해제
스마트싱스에서 월패드 도어락 열림 자동화를 설정한 모습
▲ 스마트싱스에서 월패드 도어락 열림 자동화를 설정한 모습

스마트싱스 월패드 도어락 열림 테스트

월패드에서 ‘현관문 열림’ 버튼을 눌렀을 때 도어락이 정상적으로 열리는지 확인한다. 동작하지 않을 경우, 월패드 버튼을 눌렀을 때 도어센서가 닫힘/열림 상태로 제대로 전환되는지, 자동화 루틴에 오류가 없는지 점검한다.

마치며

이번 구성에서는 도어센서를 개조해 사용했지만, 버튼이나 전용 모듈을 판매하고 있다면 유사한 방식으로 더 간단하게 스마트싱스 연동이 가능할 것이다.

와이파이+ 연동기의 경우, 월패드에서 현관문 열림 시 실시간으로 도어락이 동작했고 설치 후 지금까지 수개월 동안 오동작 없이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었다.
반면, 스마트브릿지는 테스트에서는 정상 동작했으나 최대 10초 이상의 지연이 있었다. 이 경우, 손님과 인터폰 통화 후 문을 열어줄 때 손님이 10초 이상 기다려야 하는 상황이 발생하므로 월패드 연동에는 적합하지 않은 듯하다.

솔리티 스마트 도어락에서 스마트 솔리티 앱과 함께 IoT 플랫폼인 스마트싱스를 이용해 월패드와 연동하고자 한다면 이번 내용을 참고하여 구성해 보기 바란다.

다음글인 솔리티 스마트 도어락 가이드 5|스마트오픈 리뷰에서는 사용자가 집 앞에 다가가기만 해도 도어락이 자동으로 열리는 스마트 솔리티의 스마트오픈·터치 기능의 원리와 설정 방법, 그리고 실제 사용하면서 경험한 특징들을 정리하였으니 참고하기 바란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