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보락 로봇청소기 직배수 설치 후기|직배수 vs 일반형 비교

로봇청소기는 이제 단순히 바닥만 쓸어주는 수준을 넘어, 물걸레 세척과 자동 급·배수까지 지원하는 프리미엄 가전으로 자리 잡았다. 로보락 로봇청소기 최신 모델도 일반형과 직배수형 두 가지 옵션을 제공하는데, 설치 환경과 생활 패턴에 따라 선택 기준이 달라진다. 이번 글에서는 두 가지 타입의 장단점은 물론, 직접 경험한 직배수 설치 과정까지 함께 공유해 보려고 한다.

직배수, 일반형 비교

로보락의 최신모델들(S7 MaxV Ultra, S8 MaxV Ultra, S9 MaxV Ultra 등)은 물걸레 청소시스템으로 인해 물의 공급과 배수가 필요하며 이에 따라 일반형과 직배수형 두가지 옵션이 있다. 설치장소와 가격에 구애받지 않는다면 직배수형이 편리하다

직배수형(Refill & Drainage System)

장점

  • 급·배수 자동화
    → 물탱크를 직접 채우거나 비우지 않아도 됨. 상수도와 배수관에 직접 연결되므로 반영구적으로 관리.
  • 장시간 무인 청소 가능
    → 집을 오래 비워도 걱정 없다. 물통 때문에 청소가 멈추지 않으니 마음이 한결 편하다.
  • 편리한 위생 관리
    → 더러운 물이 자동으로 배수되므로 위생적이고 악취도 줄어듦.
  • 프리미엄 경험
    → 사실상 완전 자동화된 로봇청소기 관리 환경.

단점

  • 설치 제약
    → 싱크대, 세탁실, 화장실 등 급·배수관이 있는 공간 근처에 설치해야 함. (배수관 높이 ≤ 50cm, 파이프 길이 ≤ 6m 등 조건 있음)
  • 이동성 떨어짐
    → 한번 설치하면 다른 곳으로 옮기기 어려움.
  • 초기 설치 비용·작업 필요
    → 직접 DIY 하거나 기사 설치 필요할 수 있음.
  • 가격이 더 비쌈

일반형

장점

  • 설치 자유도 높음
    → 콘센트만 있으면 어디든 설치 가능. 싱크대 근처일 필요 없음.
  • 이동이 간편
    → 필요에 따라 거실, 방, 사무실 등 쉽게 위치 변경 가능.
  • 저렴한 가격
    → 직배수형 대비 기기 가격이 더 합리적.
  • 간단한 초기 설치
    → 배관 연결 같은 번거로움 없음.

단점

  • 물탱크 직접 관리 필요
    → 깨끗한 물 채우고 더러운 물 비우는 과정을 자주 해야 함.
  • 대형 공간 청소 시 불편
    → 물탱크 용량이 한정돼 있어 넓은 면적을 여러 번 청소하면 자주 물 보충 필요.
  • 위생 관리 부담
    → 오염수통이 오래 방치되면 악취 발생 가능.

로보락 로봇청소기 직배수 설치 조건

항목권장 기준 또는 조건
최소 설치 공간높이 30.5 cm, 너비 42 cm, 깊이 100 cm 이상
바닥 조건딱딱하고 평평한 바닥 (카펫 등 피함)
Wi-Fi강한 2.4 GHz 신호 (5 GHz 비지원)
배수관 높이 차이바닥 기준 최대 50 cm 이하
파이프 길이급·배수 파이프 6 m 이내 (초과 시 상담 필요)
수압0.1–0.4 MPa (초과 시 감압 밸브 필요)
파이프 배치출입구·복도 통과 금지
단차 및 문턱 주의2 cm 초과 단차 또는 문턱 없을 것
설치 전 안전 점검전원 차단, 주수밸브·수도꼭지 밸브 잠금 잠금, 누수 여부 확인
▲ 로보락 직배수 설치 조건

로보락 S8 MaxV Ultra 직배수 설치 조건 도해
로보락 S8 MaxV Ultra 직배수 설치 조건 도해

직배수 설치

배수 호스 연결

로보락 배수 호스를 싱크대 배수구 쪽으로 넘긴 후, 싱크 배수구 악취 방지 캡에 배수 호스를 꽂으면 된다. 악취 방지 캡 크기에 맞는 구멍에 칼로 살짝 흠집을 내고 힘을 주어 넣으면 배수 호스가 딱 맞게 들어간다.

로보락 배수 호스(흰색 굵은 호스)를 싱크대 배수구 쪽(안쪽 왼쪽)으로 넘긴 모습
▲ 로보락 배수 호스(흰색 굵은 호스)를 싱크대 배수구 쪽(안쪽 왼쪽)으로 넘긴 모습

싱크대 배수구 악취 방지 캡에 로보락 배수 호스를 꽂은 모습
▲ 싱크대 배수구 악취 방지 캡에 로보락 배수 호스를 꽂은 모습

직수 호스 연결

직수 호스는 정수기와 동일하게 6mm(1/4인치, 6.35mm)이다. 직수 호스를 연결하기 위해 싱크대 아래 냉수 공급 배관에 정수기 어댑터를 설치하고, 여기에 직수 호스를 연결하면 된다. 이렇게 직수 호스 연결을 위해 정수기 어댑터가 필수적인데, 정수기를 사용하지 않는 경우에는 정수기 어댑터를 먼저 설치해야 한다.

처음인 경우 정수기 어댑터 설치가 어려울 수 있는데 아정당 꿀팁 게시판의 정수기 설치, 철거에 돈 쓰지 마세요! (설치 위치, 설치 방법, 철거 방법, 정수기 무료 설치)에 잘 정리되어 있으니 참고하면 된다.

싱크대 냉수 배관에 정수기 어댑터가 연결된 모습. 어댑터에 연결된 흰색 호스가 직수 호스이다. 누수를 확인하기 위해 휴지를 감아두었다
▲ 싱크대 냉수 배관에 정수기 어댑터가 연결된 모습. 어댑터에 연결된 흰색 호스가 직수 호스이다. 누수를 확인하기 위해 휴지를 감아두었다

이미 정수기가 설치되어 있다면, 정수기 어댑터에서 정수기로 향하는 직수 호스의 적절한 부분을 잘라 T피팅을 연결해 정수기와 로보락으로 분배하면 된다.

정수기로 향하는 직수 호스에 T피팅을 연결해 정수기와 로보락으로 분배한 모습. 직수호스가 왼쪽에서  T피팅으로 연결되고 T피팅 앞쪽호스는 로보락으로, T피팅 오른쪽 호스는 정수기로 연결된다
▲ 정수기로 향하는 직수 호스에 T피팅을 연결해 정수기와 로보락으로 분배한 모습. 직수호스가 왼쪽에서 T피팅으로 연결되고 T피팅 앞쪽호스는 로보락으로, T피팅 오른쪽 호스는 정수기로 연결된다

로보락 동작 및 누수 점검

직배수 연결이 완료되었으면 주변을 정리하고 흘러나온 물을 닦아준 후, 정수기 어댑터, T피팅, 악취 방지 캡, 배수 호스 등 연결 부위에 누수 확인을 위해 휴지를 감아 둔다.

누수를 확인하기 위해 로보락 직수 호스에 연결된 T피팅에 휴지를 감아둔 모습
▲ 누수를 확인하기 위해 로보락 직수 호스에 연결된 T피팅에 휴지를 감아둔 모습

로보락 청소를 작동시켜 직배수가 정상적으로 되는지 확인하고, 청소가 끝난 후 감아둔 휴지를 육안으로 확인해 누수가 있는지 점검한다. 하루 정도 충분한 시간이 지난 뒤 감아둔 휴지를 풀어 최종적으로 누수를 확인한다.

마치며

직배수 설치 및 점검 완료되고 대기중인 로보락 로봇청소기 모습
▲ 직배수 설치 및 점검 완료되고 대기중인 로보락 로봇청소기 모습

결론적으로, 편리함과 위생 관리를 우선한다면 직배수형이 좋은 선택이고, 자유로운 설치와 합리적인 가격을 원한다면 일반형이 더 어울린다. 다만 집 구조나 생활 패턴에 따라 만족도가 달라질 수 있으니, 먼저 설치 가능 여부를 확인하는 게 중요하다. 이번 비교와 설치 과정을 참고해 본인에게 맞는 타입을 선택한다면, 로봇청소기를 훨씬 효율적이고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댓글 남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