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양박물관 방문 후기

안양박은 선사시대부터 근ㆍ현대까지의 다양한 유물과 자료를 소장하고 있어 안양의 역사와 문화를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아이들에게도 역사와 문화를 접할 수 있는 안양박물관을 방문하고 후기를 포스팅해 본다.

소개

선사시대부터 근ㆍ현대까지 다양한 유물을 갖추고 있는 안양을 대표하는 공립박물관이다. 소장유물과 함께 석수동 마애종, 안양사 7층 전탑 등 소장유물을 3D 콘텐츠 영상을 관람객들에게 볼거리를 제공한다. 인근에 김중업건축박물관과 안양예술공원이 자리잡고 있어 볼거리가 다양하다.

  • 운영시간 : 9:30 ~ 17:30 (입장마감 17:00)
  • 휴 관 일 : 매주 월요일
  • 관 람 료 : 무료
  • 주차 및 요금 : 예술공원공영주차장 이용(60분 1,720원, 120분 4,360원) (네이버 지도)
  • 위 치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 안양박물관 (네이 지도)
  • 편의시설 : 더 테라스 레스토랑(3층)

상설전시실

박물관 입구에 들어서서 건물 2층으로 향하는 계단으로 올라가면 상설전시실 입구가 보인다.

안양박물관 상설전시실 입구

▲ 안양박물관 상설전시실 입구 ⓒ idlebread

삼국시대, 통일신라, 고려, 조선, 근현대 연표가 시청각 모니터와 함께 전시되어 있다.

역사 연표
▲ 역사 연표 ⓒ idlebread

선사시대 유물인 빗살무늬 토기가 전시되어 있다. 일부 유물은 국립중앙박물관에서 가져와 전시하고 있어 볼 만하다.

빗살무늬 토기
▲ 빗살무늬 토기 ⓒ idlebread

토기, 맷돌을 비롯해 다양한 선사시대 유물을 만날 수 있다.

다양한 선사시대 유물
▲ 다양한 선사시대 유물 ⓒ idlebread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安養 中初寺址 幢竿支柱)의 3D 그래픽 영상으로 관람할 수 있다.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安養 中初寺址 幢竿支柱)의 3D 그래픽 영상
안양 중초사지 당간지주(安養 中初寺址 幢竿支柱)의 3D 그래픽 영상 ⓒ idlebread

안양 석수동 마애종(安養 石水洞 磨崖鍾) 탁본의 모습이다. 마애종이란 암벽에 새긴 종으로, 석수동 마애종은 남서쪽을 향한 암벽에 장방형의 목조 가구와 그 안의 암벽에 종을 새긴 것이다. 안양 석수동 마애종(네이버 지도)은 안양박물관 인근에 있으니 탁본과 실제 모습을 비교 체험하면 좋을 듯 하다.

안양 석수동 마애종(安養 石水洞 磨崖鍾) 탁본
안양 석수동 마애종(安養 石水洞 磨崖鍾) 탁본 ⓒ idlebread

안양사 관련 유물과 안양사 7층 전탑 3D 영상을 관람할 수 있다. 현재는 유실되어 볼 수 없는 안양사 7층 전탑을 볼 수 있어 흥미롭다.

안양사 관련 유물과 안양사 7층 전탑 3D 영상
안양사 관련 유물과 안양사 7층 전탑 3D 영상 ⓒ idlebread

안양사지(安養寺址) 발굴터의 모습이다. 안양사지는 안양시의 지명이 시작된 고려시대의 사찰 터이다. “몸과 마음을 편히 쉬게” 한다는 극락정토의 “안양 세계” 에서 기원한 안양사는 태조 왕건의 발원으로 고승 능정에 의해 창건되었다고 한다. 고려시대 왕실의 후원으로 사찰과 7층 전탑 건립등 크게 번성하였으나 숭유억불 등 사회적 흐름에 따라 17세기 이후에 폐사한 것으로 추정된다. 발굴터의 현실감 있는 모습과 터치 모니터를 통해 발굴 과정과 조사 과정, 결과 및 성과 자료를 볼 수 있다.

안양사지(安養寺址) 발굴터
안양사지(安養寺址) 발굴터 ⓒ idlebread

안양사지(安養寺址)에서 출토된 기와들이 전시되어 있다. 당시에 번성하였던 안양사지 기와의 화려함을 볼 수 있다.

안양사지(安養寺址) 출토 기와
안양사지(安養寺址) 출토 기와 ⓒ idlebread

삼성기유첩(三聖記遊帖)은 조선 후기 어용화사(임금의 어진을 그린 화가) 운초 박기준 (雲樵 朴基駿)이 문인들과 함께 관악산과 삼성산을 유람하며 시문과 그림을 기록한 것이다. 삼성기유첩을 화려한 그래픽과 큰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삼성기유첩(三聖記遊帖) 영상모습
삼성기유첩(三聖記遊帖) 영상모습 ⓒ idlebread

삼성기유첩의 관악산 옛모습의 그림들을 움직이는 영상으로 소개하고 있다.

관악산 옛모습의 그림들을 움직이는 영상으로 소개한다
관악산 옛모습의 그림들을 움직이는 영상으로 소개한다 ⓒ idlebread

그림의 모습과 현재의 모습을 실제 사진과 교차하여 보여주어 그림과 현재의 모습을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다.

그림과 현재 모습을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다. 사진은 삼막사의 모습
그림과 현재 모습을 비교하며 감상할 수 있다. 사진은 삼막사의 모습 ⓒ idlebread

삼성기유첩(三聖記遊帖) 표지서문 등, 삼성기유첩의 자세한 모습을 영상으로 볼 수 있다.

삼성기유첩(三聖記遊帖) 표지서문
삼성기유첩(三聖記遊帖) 표지서문 ⓒ idlebread

조선시대 양반의 문방사우(文房四友)와 곰방대, 재떨이 등, 조선시대의 생활상을 엿볼 수 있는 다양한 유물이 전시 되어 있다.

조선시대 양반의 문방사우(文房四友)와 곰방대, 재떨이 등
조선시대 양반의 문방사우(文房四友)와 곰방대, 재떨이 등 ⓒ idlebread

근대시대의 서적과, 신문, 영사기가 전시되어 있다.

근대시대의 서적과, 신문, 영사기의 모습
근대시대의 서적과, 신문, 영사기의 모습 ⓒ idlebread

1970년대 전후 안양의 모습과 안양유원지 수해복구 모습 등, 옛날 영상들을 볼 수 있어 흥미롭다.

1970년대 전후의 안양의 영상모습을 볼수 있다
1970년대 전후의 안양의 영상모습을 볼수 있다 ⓒ idlebread

1970년대 안양유원지 사진과, 1976년 김승주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일기장을 볼 수 있다.

1970년대 안양유원지 사진과 김승주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일기장
1970년대 안양유원지 사진과 김승주 초등학교 2학년 학생의 일기장 ⓒ idlebread

포토존에서는 신문속에 나의 모습을 담을 수 있다.

신문속에 나의 모습을 담을 수 있는 포토존
신문속에 나의 모습을 담을 수 있는 포토존 ⓒ idlebread

관람을 마치고 나오면 어린이들을 위한 나만의 플로피디스크 만들기, 나만의 책갈피 만들기 전시체험이 준비되어 있다.

어린이들을 위한 전시체험이 준비되어 있다
어린이들을 위한 전시체험이 준비되어 있다 ⓒ idlebread

나만의 플로피 디스크 만들기(좌), 나만의 책갈피 만들기(우) 체험 재료의 모습
나만의 플로피 디스크 만들기(좌), 나만의 책갈피 만들기(우) 체험 재료의 모습 ⓒ idlebread

마치며

안양박물관은 시대별로 다양한 유물과 안양시의 대표적인 문화재를 볼 수 있어 아이와 함께하기 좋은 문화 휴식 공간이다. 더불어 박물관 3층에서 식사를 즐길 수도 있고, 김중업건축박물관과 안양예술공 인근을 가볍게 둘러보기 좋다. 특히 안양시 인근에 거주한다면 한 번쯤 안양박물관을 방문해 볼 것을 추천한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