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드로이드 앱 개발시 구글맵 SHA1 적용

앱 개발 시 구글맵을 표시할 때 디버그 SHA1을 적용해야 지도가 정상 표시된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를 재설치하거나 다른 환경에서 개발할 때 SHA1이 적용되어 있지 않으면 하얗게 빈 지도를 만나게 된다. 이럴 때 필요한 구글맵 SHA1 적용 과정을 정리해 둔다.

개발용(디버그) SHA1키 확인

먼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개발용(디버그) SHA1키를 확인해야 한다. Ctrl키를 두번 누르면 Run Anything 팝업이 나타나고 여기에 gradle signingReport입력 후 엔터를 입력하면 signingReport가 실행되고 이후 하단 Tool Window의 Run 탭에서 MD5, SHA1, SHA-256 키를 확인할 수 있다. 더 자세한 내용은 안드로이드 스튜디오 SHA1 키 바로 확인하는 방법 2가지를 참고한다.

Terminal에서 MD5, SHA1, SHA-256 키를 확인
▲ Terminal에서 MD5, SHA1, SHA-256 키를 확인

구글맵 SHA1 적용

Google Cloud Console에 접속해서 작업 중인 프로젝트 확인한 후(원하는 프로젝트가 아니면 클릭해서 변경한다) 검색창에 ‘api’라고 입력한 후, 검색 목록에서 ‘API 및 서비스’를 선택한다.

구글 클라우드 콘솔에서 API 및 서비스 메뉴 선택
▲ 구글 클라우드 콘솔에서 API 및 서비스 메뉴 선택

API 및 서비스>사용자 인증 정보API키 목록에서 Android앱 항목을 선택한다.

사용자 인증 정보에서 Android 앱 항목을 선택
▲ 사용자 인증 정보에서 Android 앱 항목을 선택

Android 제한 사항에서 패키지 이름과 함께 등록된 SHA1 디지털 지문을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Add’를 클릭하여 패키지 이름과 SHA1 디지털 지문 추가를 진행한다.

Android 제한사항에서 'Add'를 클릭하면 패키지이름과 함께 SHA1 디지털 지문을 추가할 수 있다
▲ Android 제한사항에서 ‘Add’를 클릭하면 패키지이름과 함께 SHA1 디지털 지문을 추가할 수 있다

‘Add’를 클릭하면 Android 앱 추가 항목이 표시되고 패키지 이름과 SHA1 인증서 디지털 지문을 입력한 후 완료를 클릭하면 목록에 추가되고 하단 저장 버튼을 클릭해야 최종 반영이 완료된다. 설정이 적용되는 데에 5분 정도 소요되므로 5분 정도 지나서 앱에서 구글 지도를 확인해보면 정상적으로 표시됨을 확인할 수 있다.

Android 앱 추가에서 패키지 이름과 SHA1 디지털 지문을 입력하여 추가한다
▲ Android 앱 추가에서 패키지 이름과 SHA1 디지털 지문을 입력하여 추가한다

마치며

여기까지 구글맵 SHA1 적용 방법을 간단하게 정리해 보았다. SHA1 디지털 지문은 관리 없이 등록하게 되면 나중에 해당 SHA1 디지털 지문이 어떤 것인지 알 수 없으므로 별도로 관리하여 삭제, 갱신관리를 하면 좀 더 효율적인 등록이 될 것이다.

Leave a Com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