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중업건축박물관 방문 후기

안양예술공원에 위치한 김중업건축박물관은 근대건축계의 거장인 김중업의 건축 작품들을 만나볼 수 있는 국내 최초의 건축 전문 공립박물관이다. 일상생활과 밀접하게 맞닿아 있는 건축을 아이에게 경험해 보고 느끼게 해주고자 김중업건축박물관을 방문해 보고 후기를 포스팅해 본다.

소개

2014년3월28일 개관한 국내 최초의 건축 공립 박물관으로 김중업이 설계한 유유산업 안양공장을 리모델링하여 운영하고 있다. 김중업은 우리나라 1세대 건축가로서 주한 프랑스대사관, 삼일빌딩, 서울올림픽 평화의 문 등 우리나라 근현대 건축사에 주목할 만한 건축 작품을 설계하였다.

김중업건축박물관 상설전시실에서는 김중업의 일생과 그의 대표 작품들의 모습과 건축적 특징을 접할 수 있다.

  • 운영시간 : 9:30 ~ 17:30 (입장마감 17:00)
  • 휴 관 일 : 매주 월요일
  • 관 람 료 : 무료
  • 주차 및 요금 : 예술공원공영주차장 이용(60분 1,720원, 120분 4,360원) (네이버 지도)
  • 위 치 : 경기 안양시 만안구 예술공원로103번길 4 김중업건축박물관(네이버 지도)

상설전시실 1층

김중업건축박물관 입구로 들어서면 안네데스크와 함께 1층 상설전시실로 입장할 수 있다.

김중업건축박물관 입구
▲ 김중업건축박물관 입구 ⓒ idlebread

김중업의 이력서, 여권, 건축사 자격증과 자필 수첩을 볼 수 있다. 예전의 이력서, 여권, 자격증의 모습을 볼 수 있어 흥미롭다.

김중업의 이력서, 여권, 건축사 자격증과 자필 수첩
▲ 김중업의 이력서, 여권, 건축사 자격증과 자필 수첩 ⓒ idlebread

김중업의 학력, 이력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김중업의 학력, 이력 소개
▲ 김중업의 학력, 이력 소개  ⓒ idlebread

김중업의 건축에 영향을 받은 거장들과의 만남.

거장들과의 만남
▲ 거장들과의 만남  ⓒ idlebread

프랑스 건축 거장 르코르뷔지에 인체모듈러의 모습. 인체모듈러는 르코르뷔지에가 고안한 인체 측정 비율 척도이다. 김중업은 르코르뷔지에의 유일한 한국인 제자였다.

르코르뷔지에 인체모듈러의 모습
▲ 르코르뷔지에 인체모듈러의 모습 ⓒ idlebread

르코르뷔지에의 Secretariat Building, Chandigarh 찬디가르(샹디갈) 행정청사 모형의 모습. 김중업이 참여한 작품이다.

르코르뷔지에 Secretariat Building, Chandigarh
▲ 르코르뷔지에 Secretariat Building, Chandigarh ⓒ idlebread

부산대학교 본관 모습. 지하 1층, 지상 5층, 연면적 2,631㎡의 철근콘크리트조 건물로, 1956년 설계를 시작하여 1957년 완성했다.

부산대학교 본관
▲ 부산대학교 본관 ⓒ idlebread

유유제약 안양공장은 유유제약 유특한 회장의 의뢰로 1959년 설계하여 1960년 준공했다. 2006년 충북으로 제약공장을 이전한 이후, 공장 건물은 2007년 안양시에 매입되어 리모델링 후 김중업건축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김중업이 설계한 공장 건물 중 유일하게 남아있는 것으로 김중업 초기 건축의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된다.

유유제약 안양공장
▲ 유유제약 안양공장 ⓒ idlebread

김중업 건축 작품 전시회 설명과 르 코르뷔지에의 메종 자울 (Maison Jaoul) 주택 모형 모습.

르코르뷔지에 Masion Jaoul 주택
▲ 르코르뷔지에 Masion Jaoul 주택 ⓒ idlebread

김중업 건축관련 영상물 모습.

김중업 건축관련 영상물 모습
▲ 김중업 건축관련 영상물 모습 ⓒ idlebread

뉴욕박람회 한국관의 모습.

뉴욕박람회 한국관 모습
▲ 뉴욕박람회 한국관 모습 ⓒ idlebread

김중업 관련 서적이 전시되어 있다.

살고 싶어져야 하잖은가
꿈이 있고 詩가 있고
사람들이 옹기종기 정다웁게
모여살고 싶어져야 하잖은가

김중업

김중업 관련 서적
▲ 김중업 관련 서적 ⓒ idlebread

1층 상설전시장 마지막 코너로 건축 모형을 보면서 색칠하는 체험 코너가 마련되어 있다. 다른 방문객들의 색칠 작품도 전시되어 있다. 아이와 함께 인상 깊었던 건축 모형을 색칠해 보는 의미 있는 시간을 가질 수 있다.

건축 색칠 체험
▲ 건축 색칠 체험 ⓒ idlebread

상설전시실 2층

상설전시관 2층에 들어서면 도면의 춤이라는 김중업의 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한 영상물이 전시되고 있다.

김중업 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한 영상물, 도면의 춤
▲ 김중업 설계 도면을 바탕으로 한 영상물, 도면의 춤 ⓒ idlebread

제주대학본관 모습. 1995년10월 허물어져 현재는 남아있지 않다.

제주대학본관
▲ 제주대학본관 ⓒ idlebread

서산부인과 의원 건물은 김중업의 대표작으로 1965년 설계해 1966년 준공되었다. 각진 곳 없이 곡선이 연결된 디자인이 특징적이다.

서산부인과의원
▲ 서산부인과의원 ⓒ idlebread

삼일빌딩은 1970년 완공 당시 대한민국에 있는 최고층 건물이었으나 이후 1978년 롯데호텔 서울 본관 완공으로 최고층 건물 타이틀을 넘겨주었다. 현재는 서울관광재단과 SK네트웍스 및 그 자회사인 SK매직, SK렌터카가 입주해 있다.

삼일빌딩
▲ 삼일빌딩 ⓒ idlebread

외환은행 본점 계획안, 성공회 회관의 모습.

외환은행 본점 계획안, 성공회 회관
▲ 외환은행 본점 계획안, 성공회 회관 ⓒ idlebread

김중업은 1978년10월 영구 귀국하였다. 귀국 첫 작품인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의 모습.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한국교육개발원 (Korean Educational Development Institute) ⓒ idlebread

육군박물관(Korea Army Museum)의 모습. 육군박물관은 지하 1층~지상 3층 규모로 1983년 준공되었다. 준공 당시 건축문화 창달에 기여한 공로로 대한건축사협회 한국 건축전 대상을 수상한 작품이다.

육군박물관 (Korea Army Museum)
▲ 육군박물관 (Korea Army Museum) ⓒ idlebread

서울올림픽 평화의 문은 서울특별시 송파구에 소재한 올림픽 공원 입구에 세워진 문으로 1988년 하계 올림픽을 기념하여 설계하였다. 대한민국 전통사상을 표현하여 세계 평화를 기원하는 의미를 담고 있으며 서울 지하철 8호선 몽촌토성역 1번 출구 앞에 자리 잡고 있다.

서울올림픽 평화의 문 모형
▲ 서울올림픽 평화의 문 모형 ⓒ idlebread

마치며

김중업건축박물관은 건축 근대화의 거장인 김중업의 건축 설계와 철학을 접할 수 있는 공간이다. 건축에 관심이 있다면 한 번쯤 방문해 보면 좋을 듯하다. 안양박물관과 안양예술공원을 함께 즐길 수 있어 아이들과 시간을 보낼 수 있는 좋은 곳으로 추천 드린다.

Leave a Comment